삼세불회도(三世佛會圖)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5-03-13 16:28 조회117회본문
국적/시대 | 1905년 | 재질 | 면본채색 | 크기 | 아미타불회도 415cmX269cm, 석가모니불회도 411cmX285cm. 약사불회도 410cmX268cm |
---|---|---|---|---|---|
지정 | 관리자 | 인수내용 |
이 삼세불회도는 중앙의 석가모니불회도를 중심으로 향 좌측에 아미타불회도를,향 우측에 약사불회도를 봉안하였다. 먼저, 석가모니불회도 화면 구성은 중앙의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8대보살, 벽지불, 아난과 가섭을 비롯한 10대 제자, 제석과 범천, 화면 상단 가장자리에는 신중을,석가모니불 두광 위에는 동 자를 배치하였다. 특히 화면 하단에 관음과 대세지보살은 연꽃 가지를 받쳐 들고 있다. 아미타불회도는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관음과 지장보살을 비롯한 6대보살, 10대제자, 범천과 제석천, 벽지불, 동자, 하 단 가장자리 좌우에 각각 천왕을, 상단 가장자리에 좌우에는 신중을 각각 배치하였다. 약사불회도는 약 사여래를 중심으로 6대보살, 범천과 제석천, 10대제자, 벽지불, 용왕과 용녀, 아사세왕과 위데히왕비, 동자와 동녀, 하단 가장자리에 좌우에 천왕을 각각 배치하였다.
도상의 특징은 첫째, 불단 중앙의 영산회상도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의 불화는 사천왕상을 나누어 배치하고 중앙에는 4천왕을 생략하였다. 둘째, 팔부중의 구성이 각 폭마다 나누어 배치되었고, 셋째, 아미타불도와 약사불도의 협시인 좌우보처의 존상이 뚜렷하지 않다. 즉 아미타불도에서는 관음과 지 장보살이 주요 협시로 등장하지 않았고, 약사불도에서도 주요 협시인 일광과 월광보살이 등장하지 않 았다. 주요 좌우 협시보살은 각각 연꽃가지를 들고 등장하지만 석가불회도에서는 보처인 문수와 보현보 살의 지물인 연꽃을 그 옆에 있는 관음보살과 미륵보살이 들고 있다.
이 3폭의 삼세불회도는 옆으로 퍼진 육계, 구불구불한 선만을 표현한 나발의 표현, 양 어깨를 덮은 통견에 보이는 건장함 등에서 엄격하고 근엄함을 엿 볼 수 있다. 색채는 적색, 녹색, 양녹색, 군청색 등을 주로 사용하였다. 1905년에 금호당 약효가 주도하여 3폭의 불화를 조성하였다.
도상의 특징은 첫째, 불단 중앙의 영산회상도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의 불화는 사천왕상을 나누어 배치하고 중앙에는 4천왕을 생략하였다. 둘째, 팔부중의 구성이 각 폭마다 나누어 배치되었고, 셋째, 아미타불도와 약사불도의 협시인 좌우보처의 존상이 뚜렷하지 않다. 즉 아미타불도에서는 관음과 지 장보살이 주요 협시로 등장하지 않았고, 약사불도에서도 주요 협시인 일광과 월광보살이 등장하지 않 았다. 주요 좌우 협시보살은 각각 연꽃가지를 들고 등장하지만 석가불회도에서는 보처인 문수와 보현보 살의 지물인 연꽃을 그 옆에 있는 관음보살과 미륵보살이 들고 있다.
이 3폭의 삼세불회도는 옆으로 퍼진 육계, 구불구불한 선만을 표현한 나발의 표현, 양 어깨를 덮은 통견에 보이는 건장함 등에서 엄격하고 근엄함을 엿 볼 수 있다. 색채는 적색, 녹색, 양녹색, 군청색 등을 주로 사용하였다. 1905년에 금호당 약효가 주도하여 3폭의 불화를 조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