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보전(大雄寶殿)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5-03-18 13:50 조회117회본문
국적/시대 | 조선시대 | 재질 | 크기 | ||
---|---|---|---|---|---|
지정 | 보물 | 관리자 | 인수내용 |
중층(緟層) 다포계(多包系)의 팔작지붕 건물로, 아래층이 정면 5칸, 측면 4칸, 위층이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사진 대지 위에 세워져 있어 기단은 정면과 나머지 면의 높이가 다르지만, 전체적으로 막돌바른층쌓기 형식이다.
가구법은 중앙 고주(高柱)를 생략하고, 아래층 좌·우측 고주 사이에 대들보를 걸고 상부에 위층 평주(平柱)를 올려 아래층은 측면이 4칸이지만 위층은 3칸이 되고, 측면에서 보면 위·아래층의 기둥열 일치하지 않는다. 창호는 아래층에서 정면의 가운데 3칸에는 3분합 띠살문, 양쪽 퇴칸에는 쌍여닫이 정자(井字) 살문을 달았다. 위층에는 정면에 빛이 통하도록 빗살창을 달고 나머지 3면은 판벽(板壁)으로 막았다. 천장은 우물천장이며 바닥은 우물마루로 구성되어 있다. 중층 건물이면서 아래층 모서리칸을 모두 장방형으로 구성한 점과 고주를 생략하고 기둥을 배열한 결과 위·아래층의 평면과 기둥열이 다른 점이 특징이다.
가구법은 중앙 고주(高柱)를 생략하고, 아래층 좌·우측 고주 사이에 대들보를 걸고 상부에 위층 평주(平柱)를 올려 아래층은 측면이 4칸이지만 위층은 3칸이 되고, 측면에서 보면 위·아래층의 기둥열 일치하지 않는다. 창호는 아래층에서 정면의 가운데 3칸에는 3분합 띠살문, 양쪽 퇴칸에는 쌍여닫이 정자(井字) 살문을 달았다. 위층에는 정면에 빛이 통하도록 빗살창을 달고 나머지 3면은 판벽(板壁)으로 막았다. 천장은 우물천장이며 바닥은 우물마루로 구성되어 있다. 중층 건물이면서 아래층 모서리칸을 모두 장방형으로 구성한 점과 고주를 생략하고 기둥을 배열한 결과 위·아래층의 평면과 기둥열이 다른 점이 특징이다.